력사를 좀 아는 사람들은 대흠무라고 하면 발해사연구에 귀중한 무덤비석과 벽화가 나온 정혜공주무덤과 정효공주무덤에 대한 생각을 곁달아 떠올릴것이다. 대흠무는 바로 그 정혜공주(둘째딸)와 정효공주(넷째딸)의 아버지였다.
사랑하는 딸들을 잃고 비애에 잠겨 조상전래의 돌칸흙무덤과 벽돌무덤을 요란하게 꾸려주고 벽화까지 그리여 지하궁전을 만들어주며 지상에서 못다 누린 행복을 저 세상에 가서 마저 누리도록 해주려고 마음쓴 다심한 아버지의 그날의 정경이 유적의 구석구석에 오늘도 느껴진다.
그러나 대흠무는 아버지이기 전에 자존으로 천하를 굽어보며 발해를 번영의 길에 세운 능력있는 정치가, 임금이였다.
그는 형인 태자 대도리행이 728년에 객사한 후 아버지인 2대 무왕 대무예의 어명으로 태자가 되였다. 737년에 대무예가 죽자 그는 숭경전에서 보위에 올랐다.
대흠무(737-793년)는 력대 제왕들가운데서 보기 드문 장수자로 200여년간의 발해력사에서 4분의 1을 차지하는 57년간의 오랜 통치기간에 정치, 경제, 문화의 여러 부문을 발전시켜 발해를 강력한 대국으로 세상에 우뚝 내세웠다.
대흠무는 집권후의 첫 사업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당시 수도였던 《구국》일대는 천험의 요새이기는 하지만 경제를 발전시키는데서는 일련의 제한성을 가지고있었다.
그러나 새 수도로 정한 중경(화룡현 서고성자)일대는 토지가 비옥하고 관개에 편리하여 농업을 발전시키는데 적합하였으며 쇠돌광산이 곁에 있어 철생산을 늘일수 있었다.
또한 대흠무가 천도를 결심하게 된것은 부패한 정치를 일신하고 자기의 통치지반을 확립하려고 한데도 그 목적이 있었다.
발해국의 첫 수도인 《구국》에는 무력으로 고왕, 무왕의 전제통치를 뒤받침해주던 무신들이 상당한 세력을 가지고있었고 국가권력은 권신들의 수중에 장악되여있었다.
당시의 형편에 대하여 일부 관리들은 《태묘》를 여는 의식을 빌어 대흠무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상소하였다.
… 개국초에 관직을 설치하고 재상을 두어 6부를 거느리게 하였고 감, 시, 창고를 두어 6부를 돕게 하여 제도가 극성하였다. 그런데 법이 오래되고 쇠진하여 법 맡은 자는 선택하여 추천하는 사업을 모르며 군적을 보는 자는 군액을 모르며 지어 호구의 참과 모자람, 돈과 낟알의 많고 적음도 모른다. 감옥소송이 밝지 못하고 가렴주구를 다스리지 못하고있다. 호적을 짜고 법을 만드는 자는 가득하나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 무릇 6부 백관의 근본은 정사를 하는것이다. 근본이 어지러우니 다스리지 못하는것이다. … 옛날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반드시 먼저 기강을 세웠으니 나라에 기강이 있으면 몸에 혈맥이 있는것과 같다.…